기초연금 수급자격과 신청방법, 2022년 월 최대 307,500원
목차
앞으로 우리는 100세 시대를 넘어서 120세까지도 평균 수명이 길어질 수도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정작 일하는 나이는 평균적으로 겨우 절반인 50-60대까지인데요.. 그만큼 노후대책은 중요합니다. 오늘은 노후대책에 도움이 되는 정책 중 하나인 기초연금에 대해서 설명드리려 합니다.
기초연금 이란?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이며, 소득인정액 기준에서 하위 70%의 어르신들에게 일정 금액을 지급하여 노령층의 노후소득을 보장함과 동시에 생활안정을 위해 만들어진 제도입니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국민연금과는 다른 제도이죠.
특히나 많이 알려져있지 않은 편이라 해당 되시는 어르신이 많은데도 신청하지 못한 어르신이 많은 제도 중 하나입니다. 저만해도 정책에 관심이 많아서 이것저것 수집하면서 보는 편인데 이 제도를 이번에 글 작성하게 되면서 정보수집하다 알게됐으니 말이죠.
2022년 기초연금 금액
1인 가구 등의 단독가구는 최대 307,500원까지
부부가구인 경우 최대 492,000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2022년에 물가 상승과 함께 조금 더 인상 된 금액입니다.
2022년 기초연금 수급자격
1. 대한민국 국적인 국내 거주 중인 만 65세 이상
2. 신청가구의 소득인정액이 일정 금액 이하
(단독가구/1인가구 포함는 180만원 이하, 부부가구는 288만원 이하인 경우 신청 가능)
* 여기서 소득인정액이란 소득 평가액과 재산의 소득 환산액을 합산한 금액이며,
계산은 아래 사이트에서 임시로 가능합니다.
그렇다는 건 현재 소득 뿐만 아니라 재산상태도 충족해야 합니다.
기초연금의 제외되는 대상도 당연히 있습니다.
기준에 부합하다고 해서 무조건 기초연금을 다 받으실 수 있는 건 아닙니다. 공무원연금, 교직원연금, 군인연금, 우체국연금 등과 같은 제도에 가입되어 수령을 받는 다면 요건들이 맞더라도 기초연금은 받지 못합니다.
기초연금 신청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1. 아래 '복지로' 홈페이지를 접속해서 온라인신청
https://www.bokjiro.go.kr/ssis-teu/twataa/wlfareInfo/moveTWAT52011M.do
2. 현재 거주중인 주소지의 관할 주민센터 및 읍/면사무소 방문하여 신청
3. 국민연금공단 지사에 방문하여 신청
**신청은 만 65세인 해의 생일이 속하는 달 1개월 전부터 신청이 가능합니다.
저는 어르신들의 경우 온라인 신청이 힘드시다면 2번으로 신청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왜냐하면 가는 김에 내가 현재 다른 정책들 중에서도 지원 받을 수 있는게 있는지 상담도 받을 겸 말이죠.
기초연금 신청할 때 필요한 서류
1. 본인확인이 가능한 신분증(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 등)
2. 기초연금을 지급받을 본인명의의 계좌(통장) 사본
3. (배우자가 있는 경우) 배우자의 금융 정보 등 제공동의서
4. (전세 및 월세에 거주하는 경우) 현재 거주하는 집의 전/월세 계약서
혹시나 이외 추가로 필요한 서류들은 담당자가 알려줄 것입니다.
배우자가 없으신 경우는 3번은 제외겠죠. 현재 집이 매매로 사서 내 집인 경우면 4번 서류는 안챙기셔도 되구요.
추가문의가 필요한 경우 방문이 힘드시다면 전화문의는
국민연금공단인 1355 혹은 보건복지부 콜센터인 129로 전화문의도 가능합니다.
이상 더 많은 어르신들이 알고 해당 되시는 분들이 꼭 신청하셔서 혜택 받으셨으면 하는 <기초연금>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혹시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들은 가까운 주민센터, 동/읍/면사무소에 가셔서 기초연금에 대해 물어보시면 자세히 알려주실 겁니다.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하트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지원금복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13일부터 확인지급 시작 (5) | 2022.06.13 |
---|---|
24일부터 저소득가구에게 100만원씩 긴급생활지원금 지급 (3) | 2022.06.09 |
지하철,버스 통합정기권 2023년부터 도입 추진 (1) | 2022.06.08 |
소상공인 자영업자 손실보상금 600만원 추가지급 신청 대상자 기준 금액 (0) | 2022.05.13 |
접종완료 재택치료자에게 '생활지원비' 48만원 추가지급 (4) | 2021.12.08 |